1. 개요
흑수리반의 학생이자, 에델가르트의 시종.
2. 영입 조건
Chapter 1. '세 개의 반'에서 흑수리반 선택 시 자동 영입.
그 이외의 방법으로는 영입 불가하며, Chapter 11. '심원의 옥좌'에서 은설의 장에 진입할 경우 자동 이탈.
3. 성장률
HP | 힘 | 마력 | 기술 | 속도 | 행운 | 수비 | 마방 | 매력 |
35 | 30 | 55 | 45 | 45 | 35 | 25 | 40 | 35 |
4. 문장 및 고유 스킬
문장 | - |
고유스킬 | 참모역 - 계략 위력 +5 |
5. 기술 특기 및 약점
특기 | 궁술, 이론학, 지휘 |
약점 | 도끼술, 신앙, 비행 |
재능개화 | 창술 |
6. 전투기술 및 마법
검술 | 창술 | 도끼술 | 궁술 | 격투술 | 이론학 | 신앙 | 지휘 | |
D |
도라Δ | 마력의 응원 | ||||||
D+ | 슬라임Β | |||||||
C |
반시Θ | 리커버 | 분노의 진형 | |||||
C+ | 강궁 | 마방의 응원 | ||||||
B |
데스Γ | |||||||
B+ | ||||||||
A |
매지컬 샷 | 다크스파이크Τ | 연속 공격 진형 | |||||
A+ | ||||||||
S |
속도의 응원 |
창술 재능개화 |
빙창 |
7. 평가
장점
마력 성장률이 매우 높고, 암흑 마법 사용자이므로 자체 화력이 매우 높다. 마력 성장률은 전 캐릭터 중 한네만, 흐렌과 함께 공동 3위인데, 기술, 속도 성장률까지 고려하면 리시테아를 제외한 어떤 마법사 캐릭터보다 운용이 쉽고, 그러면서도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마신의 일격을 병과 스킬로 가지고 있는 다크 비숍으로 전직이 가능하므로, 메이지 마스터에 목 맬 필요가 없다. 다만, 다크 나이트를 목표로 할 경우에는 이야기가 다른데, 자세한 것은 추천 육성 루트에서 서술.
단점
유틸성이 떨어진다. 휴베르트는 신앙이 약점이라 올리기가 어렵고, 기껏 고생해서 C까지 올렸다고 해도 신앙 마법 라인업이 특출나지 않아 별 의미가 없다.
매력 성장률이 낮아 고유스킬을 살리기가 어렵다. 매력은 다과회로 보정할 수는 있으니 그나마 다행...이긴 한데 휴베르트가 좋아하는 차인 '다그다 가향차'와 '시나몬 티'는 2부 3월에야 볼 수 있는 어둠의 상인에게서 사야 된다는 점이 걸린다. 그리고 이 점이 상당히 크게 다가오는 감이 없지 않은데, 그 이유는...
은설의 장 진입 시 자동으로 이탈한다. 다시 말해, 에델가르트와 마찬가지로 홍화의 장 한정 캐릭터이다. 위의 단점이 매우 크게 다가오는 이유이기도 한데, 홍화의 장은 8월에 끝나는 다른 루트와는 달리 4월에 끝나기 때문에, 어둠의 상인이 들어와도 그 다음 달에 엔딩이라는 점. 거의 모든 과제에 강제 출격하는 에델가르트와는 달리 휴베르트는 강제 출격하는 전투가 없어서 로스터가 완성되는 순간부터 벤치워머로 놔두면 되고, 메인 마법 딜러가 필요하다면 튀르소스의 지팡이를 장착한 리시테아로 충분히 대체할 수 있으므로 은설의 장 진입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 크게 신경쓰이는 단점은 아니다.
총평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암흑마법 딜러. 기본 스펙부터 강력한데, 슬라임Β, 데스Γ라는, 사거리 3의 마법을 배우기 때문에 사거리 증가 지팡이를 장비하지 않고도 매우 편하게 운용할 수 있다. 여기에 착안해서 마도의 지팡이를 장비해서 위력을 더 올리는 육성도 무리없이 할 수 있는 건 덤.
적들이 맷집이 강해져서 잘 안 죽는 루나틱에서도 슬라임Β, 반시Θ를 이용한 디버퍼로도 쓸만한 편. 반시Θ는 DLC 한정 캐릭터인 하피도 쓸 수 있지만, 슬라임Β는 아예 휴베르트 전용 마법이라 더더욱 부각되는 부분. 이런 유용한 캐릭터가 루트 한정 캐릭터라는 점이 아쉬울 따름이다.
8. 추천 육성 루트
① 수도사-(메이지)-다크 메이지(마스터)-다크 비숍
가장 단순하고, 그러면서도 강력한 루트. 앞서 언급했듯이 다크 비숍은 병과 스킬로 마신의 일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메이지 마스터에 목 맬 필요가 없다. 물론 레벨 10을 막 찍은 시점에는 다크 메이지로 전직이 불가능할 테니, 거쳐가기는 할 것이다.
다만 이 루트를 타기 위해서 암흑마법 시험 패스를 2개 얻어야 하는데, 홍화의 장 한정으로 얻을 수 있는 기회는 총 4번이며, 그 중 한 번은 2부 시작과 동시에 영입되는 예리차가 가지고 오는 것이라 늦은 감이 있다. 다크 비숍을 1부에 완성시키고 싶다면 '비밀 지하도의 전투'를 사신기사를 잡고 끝내는 것이 좋다. '르미르의 광란전'에서는 사신기사를 무리없이 잡을 수 있을테니 생략한다.
육성 난이도는 사신기사 처치만 빼면 쉬운 편이지만, 암흑마법의 달인이 없다는 것이 단점. 아래 루트에 비해 좋은 점이 없으므로 다회차 플레이라면 더더욱 추천하지 않는다.
② 수도사-메이지(마스터)-다크 메이지-다크 비숍-다크 나이트
화력과 기동성을 동시에 잡는 루트. 이동에 제약이 걸리는 지형으로 도배되어 있는 전장이 아니라면 위 루트의 완벽한 상위호환 루트이다. 최종직인 다크 나이트는 마신의 일격이 없으므로, 위 루트와는 달리 메이지는 마스터하고 지나가야 한다.
여기서 다크 비숍은 여의치 않다면 워록으로 대체해서 지나가도 괜찮다. 병과 스킬이 의미없긴 하지만 다크 비숍이라고 해서 특출나게 좋은 것은 아니므로... 다크 메이지 마스터는 루나틱 한정으로 권장하는 바이다. 다크 메이지의 마스터 스킬인 뱀독은 적이 단단하게 나오는 루나틱에서는 더더욱 유용하며, 특히 마수를 상대할 때 빛을 발하는 스킬이다.
다크 나이트가 마도 병과 취급을 받지 못해서 사막이나 모래사장 등에서는 이동력이 눈에 띄게 줄어든다는 것이 단점. 홍화의 장에서 이게 크게 문제가 될 만한 전투는 최종전 정도이므로 그리 심각한 문제는 아니다.
9. 분실물 및 선물
분실물 - 수상한 손수건(1부 7월)/흐레그벨그 전쟁론(1부 10월)/접이식 면도칼(1부 12월)
좋아하는 선물 - 테프 콩, 보드게임, 포드라 역사서
싫어하는 선물 - 기사도 이야기, 장식용 휘석, 아름다운 풍경화
10. 다과회
좋아하는 차 - 시나몬 티, 다그다 가향차
좋아하는 대화 주제
가장 뛰어난 동료/강한 기사단에 대한 소문/강한 무기 이야기/그 사람 나이가.../다른 동료들의 평가/도구 관리에 대해/도서실 장서에 대해/되고 싶은 병과/두 사람의 연계에 대해/모략이 성공하려면/목표하는 인물상/새로운 계략 제안/수도원의 경비에 대해/수도원의 규칙 이야기/수도원의 수수께끼/아군으로 원하는 사람/여행하고 싶은 나라/의지하고 있어/자신의 비밀/지난 전투를 반성하며/최근 읽은 책 이야기/큰일 날 뻔했던 이야기/포드라의 미래
추가 대화
귀하는 가끔 미래를 예지하는건가 싶을 만큼, 예리한 판단을 내리십니다. - 그렇지 않다/차를 마신다
베스트라 가문은 특수한 입장의 귀족이라, 영지라 할 만한 것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 감탄한다/생각을 말한다
이런 망상을 했습니다. 여신 외의 신이, 여신을 무찌르기 위해 귀하를 보낸 것은 아닐까 하는. - 생각을 말한다/쑥스러워한다
저희 베스트라가의 당주는 대대로 제국의 궁내경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 감탄한다/응원한다
저도 다사다망하지만, 귀하의 감시와 조사라 생각하면...... 이 시간도 헛된 건 아니지요. - 차를 마신다/풀 죽는다
저와 시간을 보낸 이들은 대체로 지루하다, 울적하다고들 하지요. - 그렇지 않다/응원한다/타이른다
저는 가끔 귀하가 부럽습니다. 시종인 저는, 귀하처럼 옆에 설 수 없으니. - 그렇지 않다/생각을 말한다/응원한다
저는 귀하에게 영원히 감사하지요. 폐하와 함께 걷는 길을 선택하신, 귀하에게...... - 끄덕인다/쑥스러워한다
주군께선 귀하가 마음에 드신 듯하니 후에 오늘 일을 자랑해 봐야겠습니다. - 그렇지 않다/끄덕인다
11. 지원회화 및 특수보정
에델가르트 | 도로테아 | 페르디난트 | 베르나데타 | 카스파르 | 페트라 | 린하르트 | 한네만 | 샤미아 |
A | A | A | A | B | A | B | B | A |
벨레스와 S 지원회화가 존재한다.
특수부관 보정 - 에델가르트
식사 초대/그룹과제 특수대사 - 에델가르트, 페르디난트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 > 캐릭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수리반]베르나데타 (0) | 2023.02.08 |
---|---|
[흑수리반]페르디난트 (0) | 2023.02.05 |
[흑수리반]도로테아 (1) | 2023.02.02 |
[흑수리반]에델가르트 (0) | 2023.01.26 |
[마이 유니트]벨레트/벨레스 (2) | 2023.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