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본작의 주인공.
2. 영입 조건
Chapter 0. '필연의 만남' 자동 영입
3. 성장률
HP | 힘 | 마력 | 기술 | 속도 | 행운 | 수비 | 마방 | 매력 |
45 | 45 | 35 | 45 | 45 | 45 | 35 | 30 | 45 |
4. 문장 및 고유 스킬
문장 | 불꽃의 문장(大) - 20% 확률로 데미지의 30%만큼 HP 회복, 문장 발동 시, 25% 확률로 상대는 반격 불가능하고, 위력 +5 |
고유스킬 | 스승의 인도 - 자신, 인접한 아군의 입수 경험치 +20%, (2부 한정)전투 중 상대에게 입히는 데미지 +2 |
5. 기술 특기 및 약점
특기 | 검술, 격투술, 지휘 |
약점 | - |
재능개화 | 신앙 |
6. 전투기술 및 마법
검술 | 창술 | 도끼술 | 궁술 | 격투술 | 이론학 | 신앙 | 지휘 | |
D |
파이어 | |||||||
D+ | 선더 | |||||||
C |
볼케논 | 리커버 | 매복 진형 | |||||
C+ | 몬스터 베기 | 드레인 블로 | 지도자의 귀감 | |||||
B |
||||||||
B+ | ||||||||
A |
바람 베기 | 매직 블로 | 라이나로크 | 오라 | 연속 공격 진형 | |||
A+ | ||||||||
S |
이동의 응원 |
신앙 재능개화 |
백마법 회피 +20 |
7. 평가
장점
높은 초기 스탯, 준수한 성장률로 인해 초반부터 후반까지 활약 가능하다.
기술 약점이 없어서 기술 숙련도 수급 시 효율이 떨어지는 기술이 없다.
전용 영웅의 유산의 성능이 우수하다. 검 주제에 2칸까지 공격할 수 있는 것은 덤.
단점
기술 숙련도 수급처가 한정적이다. 학생 지도/회의를 통해서 기술 숙련도를 올릴 수 없어, 실질적인 기술 숙련도 수급처는 교원 연수/고도 훈련 뿐이다. 문제는 교원 연수는 1회에 행동력이 소모되기 때문에 지도 레벨 올리기 바쁜 초회차에는 맘 놓고 하기도 어려운 것이 사실. 이외에 강습이나 출격을 통해서도 가능하긴 한데, 강습은 산책/출격 1회분을 날리는데 이걸 감수하고 실행해도 될 정도로 효율이 좋은 것은 아니고, 출격으로 얻는 숙련도는 효율성 문제는 둘째치고, 지휘 이외에는 무기, 클래스에 따라 얻는 경험치가 다르기 때문에, 이론학/중갑/기마/비행은 이 방법만으로는 불가능하다.(신앙 경험치는 합창으로 얻을 수 있으니 제외) 이 때문에 초회차에는 소드 마스터/니르바나 이외의 다른 루트의 육성은 불가능한 것이나 다름없다. 심지어 소드 마스터마저도 교원 연수로 검술을 충분히 올리지 않았다면 레벨 20이 넘고도 전직이 불가능한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으니 말 다한 셈.
총평
그야말로 어떤 물리직을 가더라도 강력한 딜탱 겸 서포터. 학생 중에서도 만능 캐릭터는 있지만, 우수한 기본 스탯, 고유 스킬의 존재, 그리고 문장 효과 덕분에, 탱, 딜, 서폿(제한적으로는 힐러 포지션도 가능)이 모두 가능한 캐릭터는 벨레트스 뿐이다. 특히, 아군 경험치 증가 패시브는 벨레트스만의 특권이라 봐도 좋을 정도.
AI의 특성상, 고난이도라고 해도 적의 어그로를 끌어줄 캐릭터는 반드시 필요한데, 난이도에 관계없이 시기를 막론하고 이 역할을 수행할 만한 유일한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유일한 예외라고 할 만한 게 최후반에 나오는 선더스톰 마법사, 그리고 외전에 나오는 휴베르트 정도. 이때쯤이면 이들을 대처하는 방법은 충분히 있을 것이므로, 큰 문제는 아니다.
8. 추천 육성 루트
① 전사-브리건드(마스터)-소드 마스터
가장 일반적인 루트로, 초회차라도 무리없이 거쳐갈 수 있는 킬소드 검사. 주인공의 자체 속도 성장률에 소드 마스터의 높은 속도 성장률까지 더하면 루나틱 난이도의 팔콘 나이트 같은 경우가 아닌 한 어지간한 공격은 회피할 수 있고, 공격시에는 필살 보정을 조금 더 보태면 높은 확률로 적을 필살로 처리할 수 있는 전형적인 킬소드 검사 그 자체가 된다.
② 전사-브리건드(마스터)-(소드 마스터)-니르바나(마스터)
주인공의 서포터 성능을 활용하는 루트. 니르바나에 필살, 속도 보정이 없어서 단독행동 시에는 리스크가 크지만, 지형 내성, 니르바나의 마스터 스킬인 성스러운 힘까지 더하면 서포터로서의 성능은 충분히 좋다. 여기에 이동력도 6인데다, 마법 사용도 가능하므로 제한적으로 힐러 역할도 할 수 있는 건 덤. 다만 순수 서포터를 원한다면 흐렌 같은 유틸 특화형에 비해 좋은 점이 전혀 없으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③ 전사-브리건드(마스터)-(배틀 몽크(마스터))-그래플러-(워 마스터(마스터))-그래플러(마스터)
벨레트(남성 주인공) 한정 루트로, 격투가 루트이다. 조금 복잡한 루트이므로 각 단계를 하나하나 설명하자면,
브리건드는 대다수의 물리 캐릭터가 마스터하고 지나가는 클래스니까 그냥 넘어가고...
배틀 몽크는 DLC 한정 클래스인데, 여기서 얻는 격투 회피 +20을 가져오는 순간 회피탱으로서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는 수준이 된다.
워 마스터의 마스터 스킬인 되받아치기는 HP가 50% 이상일 때 방어시 적의 추격을 봉인하고, 자신은 반드시 추격하도록 하는 스킬이다. 기본 속도 성장률이 높기 때문에 큰 이득을 볼 수 있을 정도는 아니지만, 없는 것보다는 낫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추가로, 여기서 되받아치기를 받아왔다면 여성 주인공으로도 되받아치기를 가져올 수 있으니 참고.
최종 클래스인 그래플러의 맹렬한 철권이 주력 전투기술이 된다. 전투기술의 한방 데미지가 중요한 루나틱에서는 더더욱 유용한 전투기술.
④ 전사-브리건드(마스터)-페가수스 나이트(마스터)-(소드 마스터/어쌔신)-팔콘 나이트
벨레스(여성 주인공) 한정 루트로, 높은 속도 성장률+비연의 일격 조합으로 추격을 넣는 비병 루트이다. 팔콘 나이트 자체 성장률에 자체적으로 존재하는 회피 보정까지 더하면 본작 최강의 회피탱이 되는데, 비병이라 활에 약하다는 점만 빼면 사실상 무상성 유닛이라고 봐도 될 정도.
학생들과는 달리 무용수 자격 취득으로 인한 검 회피 +20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은 단점. 팔콘 나이트를 선택하는 다른 캐릭터보다는 힘 성장률이 높아 조금 더 공격적인 운용을 할 수 있으니 그 점을 노려보자. 같은 이유로 검 대신 창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전투기술이 선풍창, 나이트 헌터가 끝이므로 이것까지는 추천하지 않는다.
이 루트를 선택할 경우, 비행 A+에서 얻을 수 있는 경계 태세+는 장착해두는 걸 추천. 여의치 않다면 일반 경계 태세만이라도 달아놓자. 위의 되받아치기와 마찬가지로, 남성 주인공으로도 페가수스 나이트의 마스터 스킬인 비연의 일격을 가져올 수 있으니 참고.
9. 지원회화 및 특수보정
안나를 제외한 모든 캐릭터와 지원회화가 최소 A까지 존재한다. 이성 캐릭터와는 S 지원회화가 반드시 존재하며, 동성 캐릭터의 경우도 S 지원회화가 존재하는 캐릭터가 일부 존재한다.
성별 관계없이 S 지원회화가 존재하는 남성 캐릭터
린하르트, 알로이스, 길베르트, 예리차, 율리스
성별 관계없이 S 지원회화가 존재하는 여성 캐릭터
에델가르트, 도로테아, 메르세데스, 레아(*), 소티스(**)
*레아 S 지원회화는 은설의 장 한정이다. 다른 루트로는 S 지원회화에 진입할 수 없다.
**소티스는 S 지원회화만 존재한다.
특수부관 보정 - 에델가르트, 디미트리, 클로드, 흐렌, 율리스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 > 캐릭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수리반]베르나데타 (0) | 2023.02.08 |
---|---|
[흑수리반]페르디난트 (0) | 2023.02.05 |
[흑수리반]도로테아 (1) | 2023.02.02 |
[흑수리반]휴베르트 (0) | 2023.01.30 |
[흑수리반]에델가르트 (0) | 2023.01.26 |
댓글